내가 원하는 것을 그리는것보다 찾는 사람이 많은 그림을 그리는 것이 중요하기에 첫 그림의 시작은 키워드를 통한 주제를 선정하고자 한다. 그림 실력을 부족하지만 찾아주는 사람이 많은 그림이라면 시도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럼 어떻게 많은 사람들이 찾는 그림을 찾을 것인지 정답은 키워드에서 있다.
내가 선택한 키워드가 경쟁력이 있는지를 찾아본다면 사막에서 오아시스의 방향을 알고 걸어갈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과 같다는 생각이다.

키워드 검색방법
키워드마스터 활용
네이버에서 제공중인 서비스 중 키워드마스터라는 도구를 활용해볼수 있다. 내가 생각하는 키워드가 얼마나 많은 검색량을 보여주는지, 실제 발행된 문서의 수는 얼마나 많은가 여러가지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좋은 도구이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검색은 많지만 실제 문서로 발행된 건이 적을 수록 좋은 키워드가 될 수 있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간단한 원리이자 방법이다. 내가 선택한 키워드가 검색량은 적지만 찾는 사람도 적다면 해당 키워드는 배제하고 다른 키워드를 활용한 검색조건을 맞춰가야 좋은 키워드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그리고자 하는 그림의 키워드가 금연이라고 했을 때 검색량과 문서발행량을 비교해보면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이미 해당 키워드로 문서화했던 것을 찾아볼수 있다. 즉 내가 새롭게 해당 키워드를 활용한다고 해도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는 없다.
반면 금연과 관련한 키워드 중에서 검색량은 많지만 문서수가 적은 키워드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금연초가 있다. 총 조회수는 10,370인 반면 문서수는 5,593를 보여준다. 즉 내가 키워드를 사용해서 그림화 한다면 단순 금연이 아니라 금연초를 활용한 그림의 키워드를 잡고 발생해야 한다.
키워드마스터 외에도 블랙키위, 구글 트렌드 등 다양한 도구들이 있다. 블랙키위의 경우 월간, 요일별 등 시간에 따른 키워드 변화선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계절적인 요인이 있는 키워드의 경우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글 트렌드의 경우 현재 시점에서 가장 핫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내가 선택하고자 하는 키워드가 어떤 특성이 있는지 생각하고 조회 방법을 입맛에 맞춰 활용해보자.
키워드 탐색&선택
브레인스토밍
주로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단어들의 연결로 키워드를 찾곤한다. 여러 단어의 단순 나열은 내가 선택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잡아내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사실 이러한 브레인스토밍 또한 네이버 키워드마스터의 관련 키워드를 통해 확인해볼수 있다. 내가 노력하는 수고로움을 사실상 많이 덜어주고 있다. 키워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장기적인 측면으로 단순 이슈만을 담을 경우 단기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문서발행의 피로도는 높아지게 된다. 즉, 벚꽃엔딩 처럼 연금엔딩이 될 수 있는 키워드를 찾아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중요포인트(밑줄 꽉, 돼지꼬리. 땡땡)
키워드 단가
일은 효율적이로 하기 위해서는 많은 키워드를 활용하는 것보다. 돈이 되는 키워드 찾는 것이 중요하다. 키워드 마다 단가가 있다는 것을 이번 키워드 공부를 통해 처음알게되었다. 앞전에 실패 경험 들중 워드프레스에서 육아에 대한 키워드로 글을 써본 경험으로 육아는 키워드 단가가 높지 않았다고 판단된다.물론 육아키워드중에서 높은 단가를 찾지 못한 부분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자동차, IT, 게임에 비해 키워드의 단가가 그리 높지 않았다. 스톡작가에도 해당이 될지 그림의 작품활동을 하며 키워드의 단가와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본다.
지금 내가 선택한 키워드의 검색 단가는 네이버 검색광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누군가는 이 키워드에 광고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지부터 확인해야 한다. 누구도 내가 선택한 키워드에 광고비를 지불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혼자 그 키워드만을 강조한다면 의미없는 키워드가 된다. 즉, 누군가 돈을 주고 키워드에 광고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키워드를 선택해야 한다.
핵심요약
한줄요약
검색량은 높고 문서수는 적고 광고단가가 높은 키워드를 선택하자.
'at the mo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리캔버스로 N잡을 잡을 수 있을까? (0) | 2025.02.21 |
---|---|
스톡작가의 첫 그림(태극기) (0) | 2025.02.20 |
픽셀 그리기 기초 설정 (0) | 2025.02.14 |
처음 그려보는 그림 (0) | 2025.02.12 |
스톡작가의 시작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