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판매하는 시장은 다양죠.
다만 어떤 그림을 어떻게 어디서 판매할 것인지는 고심이 필요하죠 내 그림을 어떤 방법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것인지 유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것은 사용자가 많아야 한다는 점을 가장 우선순위로 두어야 합니다.
이용자가 없는 플랫폼에서 여러 그림을 그려 올린다고 해도 그것을 소비하는 사람이 없다면 노력만큼의 결과를 얻지 못하겟죠.
이렇듯, 중요요소를 생각해서 선택한 곳은 미리캔버스라면, 그곳에서 어떻게 작가활동을 할것인지 어떻게 하면 많은 판매결과를 보여줄것인지 등 시장 조사를 실시해보자.

미리캔버스의 이용자
사진을 누가 다운 받을까?
이용자가 누구인지 먼저 확인을 해면, 학생, 교육기관, 소상공인, 기업, 관광서, 비영리기관을 포함 각종 개인들의 미리캔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해당 사이트 회원가입을 통해 확인해볼수 있다.
이미지 사진이 필요한 동영상, PPT, 카드뉴스, 상세페이지, 인스타, 로고, 배경화면에 활용하는 모든 곳에서 미리캔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성별, 연령의 경우 범위가 너무 넒은 관계로 고려대상에서 제외하자. 해당 요소(성별, 연령)은 내가 디자인한 그림 혹은 사진을 작업하기 전에 고려해보자.
미리캔버스에서 수익나기
수익화를 빠르게
미리캔버스에서는 판매자를 기여자라고 표현한다.
내가 그린 그림, 사진이 어딘가 활용된다는 것에 포인트를 두고 단순 작품을 판매한다는 개념을 넘어 어딘가 기여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추측해본다.
우리는 판매자의 기준으로 기여자의 가치관을 가지고 미리캔버스 기여자로 활동해보자.
1. 기여자 등록
등록을 매우 간단한다. 미리캔버스 > 솔루션 > 기여자 모집에 들어가 화원가입 후 콘텐츠 업로드를 하면 1주일 정도의 심사가 끝나면 끝이다.
절차의 복잡함이 없기에 누구나 기여자로 등록을 하고 심사 이후 내 작품을 판매할 수 있다.
2 수익을 높이는 방법
언제나 그렇듯 사진을 많이 찾는 시즌들이 있다. 입학식, 졸업식, 크리스마스, 3.1절, 한글날 등 특정 일정에 맞춰 사진을 찾는 수요가 급증할 때가 있다.
이 시즌에 맞춰 미리 미리 준비를 해보자.
미리캔버스의 알고리즘을 세부적으로 확인하기에는 어렵지만 이번주, 특정날(한글날, 31절) 등 카테고리가 세분화되어 있어 내가 그린 그림을 다른 곳에 비해 좀더 세분화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에 다 그림의 포지션을 카테고리에 맞춰 업로드해보자.
3. 비독점
미리캔버스에 업로드 한 것을 독점으로 판매하는 형태가 아니라는 점이 중요하다.
즉, 다른 SNS홍보, 다른 스톡사이트에도 업로드가 가능하기에 미리캔버스에만 올리고 판매될때까지 기다릴 필요는 없다.
나의 사진, 그림이 널리 퍼질 수 있도록 하자.
미리캔버스 활용범위
미리캔버스의 핵심 디자인을 넘어 제품으로
미리캔버스는 단순이 그림을 판매하고 템플릿을 넘어 프린트허브, 비즈하우스와 같이 내 디자인을 상품에 입혀 1인 사업을 꾸릴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이점중에 하나이다.
미리캔버스와 연계된 서비스를 활용하여 제품판매의 기회도 잡아보자.
홈페이지 상단에 보면 미리캔버스, 디자인허브, 프린트허브, 비즈하우스로 구분되어 있다.
미리캔버스의 경우 판매되는 그림 디자인을 볼수 있으며, 디자인허브는 기여자가 파일을 업로드하는 공간이며, 프린트허브를 통해 디자인을 상품화하기 위한 입점을 진행할수 있다.
비즈하우스에서는 디자인된 제품들이 실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공간으로 구성된 가격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
내 제품을 디자인만, 그림, 사진에만 한정하지 않고 폭 넓게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을 합께 고려해보자.

'at the mo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지도 하나로 서울대공원에서 아기쉼터와 최적의 동선을 확인하자! (0) | 2025.03.10 |
---|---|
머리가 복잡할 때 떠나기 좋은 여행 (0) | 2025.02.27 |
스톡작가의 첫 그림(태극기) (0) | 2025.02.20 |
많은 사람들이 찾아주는 그림[키워드를 선택하는 방법] (0) | 2025.02.17 |
픽셀 그리기 기초 설정 (0) | 2025.02.14 |